Recent posts

Elasticsearch에서 분산모델2(Distributed Model)

2 minute read

이전에 마스터와 세컨드 노드를 간단히 추가해보았다. 그리고 노드가 추가되면 마스터가 가지고 있는 클러스트 상태정보는 추가되는 슬레이브 노드에게 전달된다. 그리고 이 클러스트 상태 (Cluster State)에는 샤드(Shard)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럼 샤드는 무엇인가? 1. 샤...

Elasticsearch에서 분산모델(Distributed Model)

3 minute read

1. 노드(node)란? 엘라스틱에서 분산처리모델에서 알아보도록 하자. 분산처리에 앞아서 가장 먼저 알아야 할 것이 바로 노드(node)이다. 노드란 무엇인가? 노드의 특징은 크게 3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노드는 엘라스틱 서치의 인스턴스(instance)이다. 노드는...

Spring에서 Pebble Template 사용

4 minute read

Spring에서 아마 지금까지 가장 많이 사용된 템플릿은 jstl 일것이다. jstl이 너무 올드하고 지겨운 감도 있어 여러 템플릿을 찾던 중에 pebble을 알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성능이 좋고, 사용법이 간단한 것 같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freemarker, handl...

Elasticsearch에서 매핑(mapping) 하기

3 minute read

Elastic에서 index를 생성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인 바로 매핑이 아닌가 싶다. 매핑은 RDBMS에서는 스키마같은 것이다. 엘라스틱에서 처음 인덱스를 생성하면 자동으로 매핑이 만들어진다. 하지만 실제로 그렇게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키바나와 효과적으로 연동하기 위해서 효율...

Java8에서 람다(Lambda) 정리1

5 minute read

1. 람다 이전에는.. java8에서 람다사용을 정리해본다. 사실 람다를 모른다고 해서 자바8을 사용하는데 지장은 없다. 람다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익명클래스를 이용해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렇게되면 자바의 가장 강력한 특징은 스트림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즉 아...